본문 바로가기

POPUP LogoPOPUP

팝업건수 : 총 0

닫기 오늘 하루 열지 않기
연구분야

Toward Public Health & Safe Society

첨단독성연구

세계 수준의 독성평가 연구로
미래 규제 독성학 선도 !

새로운 물질에 대한 인체 유해성을 예측하기 위해 규제기관에서 요구하는 표준화된 독성시험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인체줄기세포, 동물세포, 미생물 균주 등 여러 시험계를 이용한 검증된 선진 연구 기법 외에도 줄기세포기반 대체독성연구, 컴퓨터시스템 기반의 독성병리연구 등 미래 독성학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첨단독성
연구본부

첨단독성연구본부는 새로운 물질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규제기관에서 요구하는 표준화된 독성시험을 수행 하여 인체 유해성을 예측하는 시험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바이오의약품 및 화학물질 등이 인간 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여러 실험계 (인체줄기세포, 동물세포, 미생물균주, 실험동물 등)를 통하여 검증 된 선진연구기법을 적용하여 전신독성 또는 표적장기에 미치는 손상 정도를 분석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첨단독 성연구본부의 연구평가능력은 이미 수많은 해외기관 및 기업으로부터 의뢰받아 수행한 시험자료들을 FDA, EPA, EMA, PMDA 등 해외 선진기관에 제한 없이 제출될 정도로 최고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바이오의약품 중개연구, 줄기세포기반 in vitro 대체독성연구, 첨단진단병리연구 등의 최신 연구기법을 확립하여 미래 규제 독성학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중점연구

융합독성연구-바이오의약독성연구, 약리중독성연구, 독성기전연구/생활안전독성연구-생식독성연구, 장기독성연구, 독성병리연구, 분석동태연구, 바이오면역분석기술개발 면역독성연구 생식독성연구 바이오의약연구 독성병리연구 유전체손상연구 장기독성연구 안전성약리연구 분석동태연구 융합독성연구 독성기전연구 규제독성연구
  • 독성평가연구

    • 의약품, 화학물질, 농약 소재 등에 대한 독성평가
    • 유해화학물질의 복합노출에 대한 독성 연구
      심장 및 뇌신경계 기형 유발물질에 대한 독성발현 경로(AOP) 연구
  • 병리분석연구

    • 독성시험의 병리학적 위해성 평가 및 관련기술 연구개발
    • 화학물질, 핵산 및 단백질 의약품의 분석 및 관련 기술 연구개발
    • 의약품의 체내 흡수·분포·대사·배설 관련 연구
  • 첨단독성연구

    • 세포 및 유전자 기반 바이오의약품의 안전성평가 및 시험기술 연구개발
    • 의약품의 생리적 기능(심혈관계, 중추신경계, 호흡기계)에 대한 영향과 약효평가
    • 약물 및 임시 마약류에 대한 의존성 평가 및 연구 개발 DNA 및 유전자에 대한 영향평가를 위한 관련 기술 연구개발
첨단독성연구본부장
이병석

TEL. 042-610-8272

Toward Public Health & Safe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