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OPUP LogoPOPUP

팝업건수 : 총 0

닫기 오늘 하루 열지 않기
연구분야

Toward Public Health & Safe Society

예측독성연구

첨단 바이오기술 기반의
국가 비임상시험 발전의 초석 마련

독성연구기술과 첨단 BT-IT 기술의 융•복합 전략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신약 및 화학물질의 대체독성기술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첨단 바이오 기술을 바탕으로 줄기세포 분화기술, 제브라피시 형질전환기술, 분자영상기술 등을 활용하고 빅데이터 기반의 컴퓨터 독성학 기술을 이용해 신약 개발 효율성 증진 및 동물실험 최소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예측독성
연구본부

예측독성연구본부는 신약 및 화학물질의 첨단 독성예측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여 대체독성 기술 개발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 하고 있습니다. 첨단 바이오기술 기반의 인간 전분화능줄기세포 유래 표적장기(간, 폐, 심장, 신경) 분화 기술 개발,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기법을 이용한 독성유전자 발현 연구, 분자영상 연구,전기적인 생체신호 측정연구, 조직공학 을 이용한 장기모사모델(오가노이드, 미니장기) 개발, 뇌질환연구, 독성평가용 제브라피쉬 모델 개발과 생물 정보학 및 독성 정보학 기술의 접목연구 등 첨단 예측·대체독성평가 연구에서 다양한 성과를 통해 비임상시험 연구의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중점연구

분석독성연구, 바이오시스템연구, 독성정보연구 / 세포모델연구, 생체모사연구 분자독성연구 바이오시스템연구 정밀독성연구 세포모델연구 생체모사연구
  • 독성평가연구

    • 독성 조기 예측 통합형 프레임(AOP) 개발
    • 형질전환모델 개발 및 분자영상 기반 표적 나노센서를 이용한 독성평가기술 개발 연구
    • 빅데이터를 활용한 독성데이터 통합연구
  • 예측모델연구

    • 인간 전분화능줄기세포 이용 장기 모델링 기술 개발
    • 조직공학 기반 장기모사모델(오가노이드) 제작 및 대체독성 평가법 개발
    •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신경독성 연구
    • 전기생리학 기반의 다차원적 생체신호 기반 기능 평가법 개발
예측독성연구본부장
오정화

TEL. 042-610-8278

Toward Public Health & Safe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