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Toward Public Health & Safe Society

차세대의약평가연구
글로벌로 뻗어나가는
우수 연구성과의 요람
첨단 독성․효능평가 플랫폼 개발 연구와 첨단 질환 치료제 개발 연구를 목표로
줄기세포 유래 오가노이드 등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독성 예측 기술 개발을 위해 동물실험 대체법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차세대의약
평가연구
차세대의약평가연구단은 줄기세포 유래 오가노이드, 인공장기, 바이오칩 개발, 생체신호기술 기반 Mod of Action(MoA) 분석, 바이오기판 및 바이오센서 개발, 피지옴 기반 독성․ 효능 예측 컴퓨터 딥러닝 모델 개발 연구, 생체신호 분석을 통한 질환치료제 개발 및 약물 캐리어 등을 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스페로이드 구조를 3차원으로 이미지화하는 신기술로 질환모델의 개발과 신약의 효능 및 독성 반응을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관찰함으로써 국민 안전 향상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중소기업에 기술을 제공하고 글로벌 시장 선점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차세대의약평가연구단
-
생체조직 투명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조직 투명화 방법
- 뇌, 간, 폐 등 다양한 신체조직에 손상 없이 적용 가능, 기존의 변색, 버블형성과 같은 한계점을 보완 및 모든 기술과 재료를 국산화
- 미국과 일본에 특허 등록 완료 해외 시장 진출 예정
- (주)바이나리에 기술이전
-
전도성 탄소나노튜브 패턴화를 적용한 3차원 세포 약물스크리닝용 바이오센서 플랫폼 요소 기술 확립
- 전도성나노재료인 탄소나노튜브의 라인 패턴화 공정을 체계적으로 도입
- 탄소나노튜브의 반도체성 효과를 확연하게 증진
- 향후 3차원 세포 스페로이드 바이오센서의 센싱 플랫폼 기틀을 마련